CnA 의료기기 인허가 컨설팅
C
.
nA
Certification & Approval
사이트 내 전체검색
RELATED TERMS

MDR, MEDDEV, Standard, guidance, etc.

SEARCH
Print
 CATEGORY
Total 715 Terms
55 Page
No
 Category
 Term
 Related
 Sourced
  • 175
    서비스 (Service)
    Terms related to result
    EN ISO 9000:2015 Quality management systems
      Definition

    Output (3.7.5) of an organization (3.2.1) with at least one activity necessarily performed between the organization and the customer (3.2.4)
    Note 1 to entry: The dominant elements of a service are generally intangible.
    Note 2 to entry: Service often involves activities at the interface with the customer to establish customer requirements (3.6.4) as well as upon delivery of the service and can involve a continuing relationship such as banks, accountancies or public organizations, e.g. schools or hospitals.
    Note 3 to entry: Provision of a service can involve, for example, the following:
    — an activity performed on a customer-supplied tangible product (3.7.6) (e.g. a car to be repaired);
    — an activity performed on a customer-supplied intangible product (e.g. the income statement needed to prepare a tax return);
    — the delivery of an intangible product (e.g. the delivery of information (3.8.2) in the context of knowledge transmission);
    — the creation of ambience for the customer (e.g. in hotels and restaurants);
    Note 4 to entry: A service is generally experienced by the customer.

    조직(3.2.1)과 고객(3.2.4) 간에 필수적으로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활동을 가지는 조직의 출력(3.7.5)
    비고 1. 서비스의 지배적인 요소는 일반적으로 무형적이라는 것이다
    비고 2. 서비스는 종종 고객과의 인터페이스에서 고객요구사항(3.6.4)을 수립하는 활동뿐만 아니라 서비스의 인도를 위한 활동들을 포함하며, 은행, 회계법인, 정부기관(예: 학교, 병원)과 같이 지속적인 관계성을 포함할 수 있다.
    비고 3. 서비스 제공은 예를 들면,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 고객이 제공한 유형의 제품(3.7.6)에 수행된 활동(예: 수리되어야할 차)
    — 고객이 제공한 무형의 제품에 수행된 활동(예: 세금환급 준비에 필요한 손익계산서)
    — 무형의 제품의 인도[예: 지식 전달 차원에서의 정보(3.8.2)의 인도]
    — 고객을 위한 분위기 창조(예: 호텔 및 레스토랑에서)
    비고 4.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고객이 경험한다.

    • 174
      제품 (Product)
      Terms related to result
      EN ISO 9000:2015 Quality management systems
        Definition

      Output (3.7.5) of an organization (3.2.1) that can be produced without any transaction taking place between the organization and the customer (3.2.4)
      Note 1 to entry: Production of a product is achieved without any transaction necessarily taking place between provider (3.2.5) and customer, but can often involve this service (3.7.7) element upon its delivery to the customer.
      Note 2 to entry: The dominant element of a product is that it is generally tangible.
      Note 3 to entry: Hardware is tangible and its amount is a countable characteristic (3.10.1) (e.g. tyres). Processed materials are tangible and their amount is a continuous characteristic (e.g. fuel and soft drinks). Hardware and processed materials are often referred to as goods. Software consists of information (3.8.2) regardless of delivery medium (e.g. computer programme, mobile phone app, instruction manual, dictionary content, musical composition copyright, driver’s license).

      조직(3.2.1)과 고객(3.2.4)간에 어떠한 행위/거래/처리(transaction)도 없이 생산될 수 있는 조직의 출력(3.7.5)
      비고 1. 제품의 생산은 공급자(3.2.5)와 고객 간의 필연적으로 일어나는 어떠한 행위도 없이 달성되나, 종종 이것에 고객에게 제품을 인도하는 서비스(3.7.7)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비고 2. 제품의 지배적인 요소는 일반적으로 유형적이라는 것이다.
      비고 3. 하드웨어는 유형적이며 그 양은 셀 수 있는 속성(3.10.1)이 있다(예: 타이어). 가공 물질은 유형적이며 그 양은 연속되는 속성이다(예: 연료, 음료수). 하드웨어와 가공 물질은 흔히 상품이라 불린다. 소프트웨어는 전달매체(예: 컴퓨터 프로그램, 모바일폰 앱, 지침서, 사전내용, 뮤지컬 작곡 저작권, 면허증)와 관계없이 정보(3.8.2)로 구성되어 있다.

      • 173
        출력 (Output)
        Terms related to result
        EN ISO 9000:2015 Quality management systems
          Definition

        Result of a process (3.4.1)
        Note 1 to entry: Whether an output of the organization (3.2.1) is a product (3.7.6) or a service (3.7.7) depends on the preponderance of the characteristics (3.10.1) involved, e.g. a painting for sale in a gallery is a product whereas supply of a commissioned painting is a service, a hamburger bought in a retail store is a product whereas receiving an order and serving a hamburger ordered in a restaurant is part of a service.

        프로세스(3.4.1)의 결과
        비고. 조직(3.2.1)의 출력이 제품(3.7.6)인지 또는 서비스(3.7.7)인지는 관련된 특성(3.10.1)의 우세함에 의존한다. 예를 들면 갤러리의 판매용 그림은 제품인 반면에, 의뢰받은 그림의 공급은 서비스이다. 소매점에서 구매한 햄버거는 제품인 반면에, 레스토랑에서 주문을 받고 주문된 햄버거를 제공하는 것은 서비스의 일부이다.

        • 172
          지속적 성공 (Sustained success)
          Terms related to result
          EN ISO 9000:2015 Quality management systems
            Definition

          success (3.7.3) over a period of time
          Note 1 to entry: Sustained success emphasizes the need for a balance between economic-financial interests of an organization (3.2.1) and those of the social and ecological environment.
          Note 2 to entry: Sustained success relates to the interested parties (3.2.3) of an organization, such as customers (3.2.4), owners, people in an organization, providers (3.2.5), bankers, unions, partners or society.

          <조직> 일정 기간 동안에 걸친 성취(3.7.3)
          비고 1. 지속적 성취는 조직(3.2.1)의 경제적, 재무적 이익과 사회적 및 생태적 환경의 이익 간의 균형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비고 2. 지속적 성취는 고객(3.2.4), 소유주, 조직 내 인원, 공급자(3.2.5), 은행가, 조합, 파트너 또는 사회와 같은 조직의 이해관계자(3.2.3)에 관련된다.

          • 171
            성공 (Success)
            Terms related to result
            EN ISO 9000:2015 Quality management systems
              Definition

            achievement of an objective (3.7.1)
            Note 1 to entry: The success of an organization (3.2.1) emphasizes the need for a balance between its economic or financial interests and the needs of its interested parties (3.2.3), such as customers (3.2.4), users, investors/shareholders (owners), people in the organization, providers (3.2.5), partners, interest groups and communities.

            <조직> 목표의 달성
            비고. 조직(3.2.1)의 성취는 그 경제적 또는 재무적 이익과 고객(3.2.4), 사용자, 투자자/주주(소유주), 조직 내 인원, 공급자(3.2.5), 파트너, 이익집단과 공동체(interest groups and communities)와 같은 이해 관계자(3.2.3)의 니즈 간의 균형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한다.

            • 170
              품질목표 (Quality objective)
              Terms related to result
              EN ISO 9000:2015 Quality management systems
                Definition

              Objective (3.7.1) related to quality (3.6.2)
              Note 1 to entry: Quality objectives are generally based on the organization’s (3.2.1) quality policy (3.5.9).
              Note 2 to entry: Quality objectives are generally specified for relevant functions, levels and processes (3.4.1) in the organization (3.2.1).

              품질(3.6.2)에 관련된 목표(3.7.1)
              비고 1. 품질목표는 일반적으로 조직(3.2.1)의 품질방침(3.5.9)에 기초한다.
              비고 2. 품질목표는 일반적으로 조직(3.2.1)의 관련 기능, 계층, 그리고 프로세스(3.4.1)에 대해서 규정된다.

              • 169
                목표 (Objective)
                Terms related to result
                EN ISO 9000:2015 Quality management systems
                  Definition

                Result to be achieved
                Note 1 to entry: An objective can be strategic, tactical, or operational.
                Note 2 to entry: Objectives can relate to different disciplines (such as financial, health and safety, and environmental objectives) and can apply at different levels (such as strategic, organization (3.2.1)-wide, project (3.4.2), product (3.7.6) and process (3.4.1)).
                Note 3 to entry: An objective can be expressed in other ways, e.g. as an intended outcome, a purpose, an operational criterion, as a quality objective (3.7.2) or by the use of other words with similar meaning (e.g. aim, goal, or target).
                Note 4 to entry: In the context of quality management systems (3.5.4) quality objectives (3.7.2) are set by the organization (3.2.1), consistent with the quality policy (3.5.9), to achieve specific results.
                Note 5 to entry: This constitutes one of the common terms and core definitions for ISO management system standards given in Annex SL of the Consolidated ISO Supplement to the ISO/IEC Directives, Part 1. The original definition has been modified by modifying Note 2 to entry.

                달성되어야 할 결과
                비고 1. 목표는 전략적, 전술적, 또는 운영적일 수 있다.
                비고 2. 목표는(예를 들면, 재무, 안전보건, 그리고 환경목표) 다른 분야와 관련될 수 있고, 상이한 계층[예를 들면, 전략적, 조직(3.2.1)-전반, 프로젝트(3.4.2), 제품(3.7.6), 그리고 프로세스(3.4.1)]에 적용될 수 있다.
                비고 3. 목표는 다른 방식, 예를 들면, 품질목표(3.7.2)로서 의도된 결과(outcome), 목적, 운영기준으로, 또는 비슷한 의미를 갖는 다른 용어[예: 목표(aim), 목표(goal), 세부목표(target)]의 사용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비고 4. 품질경영시스템(3.5.4) 맥락에서 특정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품질목표(3.7.2)는 조직(3.2.1)에 의해서 수립되고, 품질방침(3.5.9)과 일관성이 있다.
                비고 5. 이 용어와 정의는 ISO/IEC Directives, 제1부의 통합 ISO 보충판의 부속서 SL에 제시된 ISO 경영시스템 표준을 위한 공통 용어와 핵심 정의 중의 하나이다. 본래의 정의는 비고 2를 추가함으로써 변경되었다.

                • 168
                  혁신 (Innovation)
                  Terms related to requirement
                  EN ISO 9000:2015 Quality management systems
                    Definition

                  New or changed object (3.6.1) realizing or redistributing value
                  Note 1 to entry: Activities resulting in innovation are generally managed.
                  Note 2 to entry: Innovation is generally significant in its effect.

                  가치를 실현하거나 재분배하는 새로운 또는 변화된 대상(3.6.1)
                  비고 1. 혁신의 결과를 가져오는 활동은 일반적으로 관리된다.
                  비고 2. 혁신은 일반적으로 그 영향이 크다.

                  • 167
                    신인성 (Dependability)
                    Terms related to requirement
                    EN ISO 9000:2015 Quality management systems
                      Definition

                    New or changed object (3.6.1) realizing or redistributing value
                    Note 1 to entry: Activities resulting in innovation are generally managed.
                    Note 2 to entry: Innovation is generally significant in its effect.

                    가치를 실현하거나 재분배하는 새로운 또는 변화된 대상(3.6.1)
                    비고 1. 혁신의 결과를 가져오는 활동은 일반적으로 관리된다.
                    비고 2. 혁신은 일반적으로 그 영향이 크다.

                    • 166
                      추적성 (Traceability)
                      Terms related to requirement
                      EN ISO 9000:2015 Quality management systems
                        Definition

                      Ability to trace the history, application or location of an object (3.6.1)
                      Note 1 to entry: When considering a product (3.7.6) or a service (3.7.7), traceability can relate to:
                      — the origin of materials and parts;
                      — the processing history;
                      — the distribution and location of the product or service after delivery.
                      Note 2 to entry: In the field of metrology, the definition in ISO/IEC Guide 99 is the accepted definition.

                      대상(3.6.1)의 이력, 적용 또는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능력
                      비고 1. 제품(3.7.6) 또는 서비스(3.7.7)를 고려하는 경우, 추적성은 다음과 관련될 수 있다.
                      — 재료 및 부품의 출처;
                      — 프로세싱 이력;
                      — 인도 후 제품 또는 서비스의 유통(distribution) 및 위치
                      비고 2. 측정학 분야에서는 ISO/IEC Guide 99의 정의가 채택되었다.

Introduction
Location
Privacy policy
Service
CE marking
FDA
MFDS
Maintenance service
Translation
Training
Usability engineering
Risk management
Biocompatibility assessment
Software validation
Cybersecurity
Clinical evaluation
PMS, PSUR and PMCF
Quality management system
Non-medical purpose device
Related news
Related laws
Related Data
씨엔에이
의료기기 인허가 전문 컨설팅 서비스
경기도 남양주시 다산중앙로 19번길 25-23 블루웨일 지식산업센터 2차 345호 / 대표: 문 재 훈 / 사업자등록번호: 496-30-00284
Copyright ⓒ CnA Co. All rights reserved.
Top
FAQ